3줄 요약
본작의 공식 자막은 말도 多, 탈도 多, 단 억까도 多.
규정을 어겨도 묻히거나, 지켜도 비난받는 사례 多.
번역/자막 평가 기준은 취향이 아닌 규정이어야 함.
목차
• 이름 : 고유명사는 맞는데
• 경어 : 언니는 맞는데
• 가사 : 노래방도 아닌데
• 배치 : 왼쪽은 거들 뿐인데
서론
지난 4분기부터 <외톨이 더 록>이라는 <케이온> 류 여고생 밴드물 애니가 컬트적 인기를 끌고 있는데, 수입사인 대원방송의 자막에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이 글에선 문제의 자막을 이름, 경어, 가사, 배치의 네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BBC와 넷플릭스의 규정에 따라 짚어본다. 그럼 먼저 '봇치 고유명사론'을 보자.
이름
고유명사는 맞는데
'봇치 고유명사론'이란 '외톨이'가 '봇치(ぼっち)'의 오역이란 비판의 주된 근거를 가리키는 말로, 요는 '봇치'가 작중에서 주인공의 별명, 즉 고유명사이니 '외톨이'란 직역보다 '봇치'란 음역이 낫다는 것이다.
상기한 규정에 비추어 봐도 솔깃한 주장인데, 둘 다 인명 번역을 금하기 때문이다. 하나씩 보면 BBC는 이에 대해 플롯의 이해를 근거로 들며, 넷플릭스는 구체적으로 '올바른 이름'은 음역할 것을 권장한다.
허나 '올바른 이름'의 기준이 문제인데, 넷플릭스는 명확한 의미가 있는 별명은 번역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 'ぼっち'는 외톨이라는 뜻의 일반명사이기도 하니 '외톨이'로 직역해도, '봇치'로 음역해도 된다.
이름이 인물을 지칭할 때는 손대지 마십시오. 무작정 번역하기 쉽지만, 플롯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BBC, 자막 안내문 - 2.5 이름 보존
Netflix의 승인이 없는 한 올바른 이름(예: Peter, Suzanne)을 번역하지 마십시오.
이름은 여기서 제공하는 한국어 번역 지침에 따라 음역해야 합니다.
별명은 구체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경우에만 번역되어야 합니다.
넷플릭스, 한국어 자막 스타일 안내문 - I.3. 캐릭터 이름
경어
언니는 맞는데
다음으로 존댓말을 보자. '니지카 언니'라는 자막은 상반된 해석이 가능한데, 니지카가 한 살 연상이니 OK란 쪽과 원래 '니지카 짱'이었으니 NG란 쪽이다. 그러나 둘 다 문제가 있는 해석인데, 각각 짚어보자.
먼저 전자의 근거는 두 사람의 나이인데, 이에 대해 넷플릭스는 존대 여부를 (화자와 청자의) 성별이나 나이만으로 결정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그럼 '짱'을 붙일 만큼 친하니 '언니'는 사족이냐, 그것도 아니다.
그 이유는 '짱'이 '상'보다 친근한 호칭이듯 '언니'도 '씨'보다 친근한 호칭이기 때문이다. 즉 '료 상'과 '료 짱'은 각각 '영희 씨'와 '영희 언니'에 대응된다. 이는 식당 종업원을 친근하게 '이모'로 부르는 것과 같다.
문제는 니지카가 아니라 료를 '언니'로 부른 것이다. 3화의 메일에서 봇치는 니지카와 료에게 각각 '짱', '상'을 붙이지만, 둘 다 '언니'로 통일된 탓에 봇치가 어색한 사이인 료에게 친한 척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존댓말과 반말은 문맥, 관계, 시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존대 여부는 성별이나 나이만으로 결정해선 안 됩니다.
넷플릭스, 한국어 자막 스타일 안내문 - I.19. 존대
가사
노래방도 아닌데
이제 가사를 다룰 차례이다. 혹자는 12화의 라이브 장면에서 노래 가사를 봇치의 독백으로 대체한 점을 비판하며 나란히 적을 것을 제안하나, 이는 규정을 무시하는 잘못된 비판/제안이다. 하나씩 짚어보자.
먼저 노래 가사 자막은 필수일까? BBC는 동의하나 넷플릭스는 그러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넷플릭스는 플롯과 명확히 관련된 노래에만 허용하며, BBC는 노래 가사보다 시각적 정보가 중요할 때만 금지한다.
즉 노래 가사 자막의 삽입 여부는 그 노래의 성격과 맥락에 달렸으며, 넷플릭스도 대화를 강조하기 위한 생략은 허용한다. 다시 말해 노래 가사보다 봇치의 독백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면 생략해도 되지만, 이 경우 줄임표를 붙여서 화자의 전환을 알려야만 한다.
노래 가사는 거의 항상 자막을 답니다.
노래 가사보다 화면의 시각적 정보가 중요한 경우에는 자막을 달지 않습니다.
BBC, 자막 안내문 - 16.5 노래 가사를 #로 표시
플롯과 명확한 관련이 있는 노래만 허락을 받고 제공합니다.
노래가 배경에 계속 재생되지만 대화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더 이상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줄임표를 사용합니다.
넷플릭스, 한국어 자막 스타일 안내문 - I.17. 노래
배치
왼쪽은 거들 뿐인데
다음으로 노래 가사와 독백을 나란히 적어야 했다는 주장을 보자. 혹자는 A사의 자막처럼 가사를 왼쪽, 독백을 중앙에 배치했다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왼쪽에 자막을 둬도 될까?
자막은 중앙 정렬이 세계적인 표준이며, 넷플릭스와 BBC도 다르지 않다. 특히 BBC는 모든 노래 가사를 화면 중앙에 둬야 한다고 명시하니, 가사를 왼쪽에 빼면 안 된다. 그렇다면 대체 어떻게 병기해야 할까?
독백을 왼쪽에 빼면 된다. 보통 화자가 여러 명이면 하이픈(-)과 개행을 쓰지만, 동격의 대사가 아니니 BBC처럼 수평 이동과 색 대비를 쓰는 것이 낫다. 즉 가사는 왼쪽/노랑, 독백은 중앙/하양으로 구분하자.
모든 노래 가사는 화면 중앙에 위치해야 합니다.
BBC, 자막 안내문 - 16.8 중앙 가사 자막
모든 자막은 중앙 정렬되어 화면 상단이나 하단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넷플릭스, 자막 스타일 안내문 : 일반 요구사항 - 5. 배치
결론
지금까지 애니 <외톨이 더 록>의 공식 자막을 이름, 경어, 가사, 배치의 네 가지 요소를 중점으로 BBC와 넷플릭스의 규정에 따라 짚어봤는데, 한계는 이렇다.
먼저 글을 관통하는 규범주의가 있다. 앞서 인용한 규정들은 그 회사들의 방송 자막을 위한 안내문이니 강제력이 없고, 있더라도 대원방송에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규정의 보편성도 문제다. 넷플릭스, BBC는 다국적 기업이지만, 결국 미국/영국계 회사인 만큼 이들의 규정이 국내에서도 유의미하다는 법은 없다.
끝으로 내용의 편향성이 걱정스럽다. 글에서 반박한 대상이 나무위키의 '외톨이 THE ROCK!/국내 방영' 문서의 비판인 만큼 아닌 밤중에 홍두깨일 수 있다.
그래도 공식 번역에 대한 근거 없는 불신과 비판이 만연한 시대에, 전문가들이 합의한 명문화된 규정을 근거로 통념을 비판하고자 한 시도는 좋았다고 본다.
출처
BBC, Subtitle Guidelines
Netflix, Timed Text Style Guide: General Requirements
Netflix, Korean Timed Text Style Guide
'애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에서 넷플릭스 화면을 캡처하는 간단한 방법 (0) | 2022.04.12 |
---|---|
카구야 0화 - 오타쿠라면 마냥 웃을 수 없는 (0) | 2022.04.10 |
자극과 역치로 본 일상물의 인기 비결 (0) | 2022.03.29 |
등급으로 알아보는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수위 (0) | 2022.03.29 |
애니 장르별 입문작 추천 (0) | 2022.03.29 |